요즘은 돈을 쓰는 것보다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그 출발점은 바로 가계부 작성인데요, 매번 수기로 쓰기에는 번거롭고 귀찮다는 단점이 있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디지털 가계부 앱입니다.
하지만 앱스토어를 보면 종류가 너무 많아 선택이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디지털 가계부 앱 5종을 비교 리뷰하여, 여러분의 소비 습관에 꼭 맞는 앱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선택 기준
리뷰에 포함된 앱은 다음의 기준으로 선정했습니다:
- 사용자 수가 많고 평점이 높은 앱
- 자동 입출금 연동 기능
- 카테고리별 지출 분석 가능
- 광고 과도하지 않음
- 무료 혹은 저렴한 유료 옵션 제공
1. 뱅크샐러드 (Bank Salad)
- 주요 기능: 계좌/카드 자동 연동, 자산 전체 보기, 건강 보험까지 통합
- 장점: 자동화 수준이 높고 자산현황 한눈에 파악 가능
- 단점: 다소 복잡한 UI, 정보 과다
- 추천 대상: 여러 계좌를 가진 고소득 직장인, 금융 데이터 통합 관리 원하는 사람
뱅크샐러드는 가계부라기보단 ‘개인 자산 관리 플랫폼’에 더 가깝습니다. 금융기관 연동을 통해 실시간으로 잔액 및 소비 흐름을 보여주며, 카드/적금/대출/보험 정보까지 통합됩니다. 초보보다는 데이터 기반으로 자산을 분석하고 싶은 중급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2. 브로콜리
- 주요 기능: 감정 기록, 소비 습관 분석, 맞춤 피드백
- 장점: 감정 소비 체크에 탁월
- 단점: 기능이 단순해 고급 데이터 분석은 부족
- 추천 대상: 감정 소비 줄이고 싶은 사람, 돈 쓰는 이유를 돌아보고 싶은 사람
브로콜리는 단순한 숫자 기록이 아니라, 소비에 담긴 감정까지 기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때문에 카페에서 충동구매' 같은 소비를 반성하게 하죠. 감정 소비를 줄이고 싶은 분들께 매우 유용한 앱입니다.
3. 편한가계부
- 주요 기능: 수동 입력, 예산 설정, 주간/월간 리포트
- 장점: 깔끔한 인터페이스, 사용자 지정 항목 많음
- 단점: 자동 연동 기능 없음, 수작업 필요
- 추천 대상: 본인이 직접 기록하며 소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싶은 사람
편한가계부는 이름처럼 단순하고 편한 구성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앱입니다. 모든 지출을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그 과정에서 소비에 대한 자각이 생깁니다. 자동화보다는 기록 자체에 의미를 두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4. 오마이북 (OHMYBOOK)
- 주요 기능: 엑셀 느낌의 세분화된 항목 기록
- 장점: 항목 커스터마이징 기능 탁월
- 단점: 초기 설정이 복잡함
- 추천 대상: 가계부를 꼼꼼하게 관리하는 습관이 있는 사람, 엑셀러
엑셀처럼 행과 열로 구성된 뷰가 특징인 오마이북은 수치 관리에 익숙한 분들에게 찰떡입니다. 세세한 카테고리와 주석 기능으로 소비 패턴을 정밀하게 기록할 수 있죠. 가계부를 엑셀로 써왔던 사람이라면 금방 적응할 수 있습니다.
5. 토스(Toss)
- 주요 기능: 간편 송금 + 소비 리포트 통합
- 장점: 다른 금융 앱보다 훨씬 쉬운 사용성, 자동 연동 탁월
- 단점: 전문 가계부 기능은 제한적
- 추천 대상: 간단한 가계부 겸 금융 앱 사용 원하는 사람
토스는 가계부 전용 앱은 아니지만, 간편송금 앱의 기본 기능에 소비 내역 정리와 예산 알림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입문자에게 적합합니다. 여러 카드나 계좌를 쓴다면 토스가 자동으로 소비 리포트를 정리해줘서 편리합니다.
5종 가계부 앱 비교 표
뱅크샐러드 | ◎ | △ | △ | △ | 금융 통합 사용자 |
브로콜리 | △ | ◎ | ◎ | △ | 감정 소비 관리 |
편한가계부 | ✕ | ✕ | ◎ | ◎ | 직접 기록 선호 |
오마이북 | ✕ | ✕ | △ | ◎ | 엑셀 매니아 |
토스 | ◎ | ✕ | ◎ | △ | 입문자용 |
디지털 가계부,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1. 자동 연동 + 수동 기록 병행
자동 연동 앱으로 큰 흐름을 파악하고, 감정이 섞인 소비는 수동으로 따로 기록해보세요. 소비를 바라보는 시각이 바뀝니다.
2. 월말 리포트 작성
한 달에 한 번은 자신의 소비 리포트를 간단히 요약해보세요. 어디에 돈이 가장 많이 쓰였는지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절약 효과가 생깁니다.
3. 공유 기능 활용
부부나 커플이라면 공유형 가계부 기능을 활용해 합리적인 소비 계획을 함께 세울 수 있습니다.
마무리: 나에게 맞는 가계부 앱을 찾는 것이 절약의 첫걸음
디지털 가계부 앱은 단순히 지출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돈 습관을 시각화해주는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귀찮고 낯설겠지만, 며칠만 써보면 분명 변화가 생길 거예요.
이번 디지털 가계부 앱 5종 비교 리뷰가 여러분의 소비 습관을 바꾸는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 바로 하나 설치해서 한 달만 써보세요. 지출 줄이기는 ‘기록’에서 시작됩니다.
'돈과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싱 이메일 구별하는 실전 팁 (0) | 2025.04.21 |
---|---|
공공 와이파이,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0) | 2025.04.21 |
투자 관련 유튜브 채널 추천 및 비교 (1) | 2025.04.20 |
2단계 인증이 중요한 이유와 설정법 (구글, 네이버, 카카오) (0) | 2025.04.20 |
내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0) | 2025.04.20 |